전체메뉴
전체메뉴

차움 건진센터 삼성분원

상담·예약 1800·7750

혈액/소·대변검사

  • 혈액형검사
  • Blood Type (RH+, RH-) A, B, O, AB 형
  • 일반혈액검사
  • CBC, Diff, ESR 적혈구, 헤모글로빈, 헤마토크리트는 빈혈을 알아보는 기본검사이며, 백혈구는 감염여부를 알아보는 지표가 됩니다.
  • 간기능검사
  • SGOT(AST), SGPT(ALT), ALP, r-GTP, Albumin, Total.Bilirubin, Direct Bilirubin, Total.Protein 간기능에 대한 기본검사로서 SGOT/SGPT의 상승은 간기능이상(염증으로 인한 손상)의 자료로 사용합니다. r-GTP의 상승은 알코올이나 약물복용, 과로로 인한 간손상, 담즙의 정체를 의미하는 지표가 됩니다.
  • 신장기능검사
  • BUN, Creatinine 신장은 체내 노폐물을 걸러내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, 각 검사항목 수치의 상승은 신장기능 저하를 추측할 수 있습니다.
  • 아미노산 대사검사
  • Homocysteine 수치가 높으면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이 증가합니다.
  • 전해질검사
  • Calcium, Na, K, Cl, Phosphorus 전해질은 우리 신체의 산, 염기의 균형을 이루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칼슘과 인은 뼈에 대부분 존재하며 신진대사에 관여합니다.
  • 지질검사
  • Triglyceride, HDL Cholesterol, LDL Cholesterol, Total.Cholesterol 과다한 지방의 상승은 고지혈증을 초래하여 동맥경화나 협심증의 원인이 됩니다.
  • 혈당검사
  • Glucose, Hb A1C 식전혈당검사는 당뇨병을 알아보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입니다.
    당화혈색소는 지난 1~2개월 동안의 혈당조절 상태를 나타내는 것입니다.
  • 근육효소검사
  • CK, LDH 심근경색, 근육질환이 있을 경우 증가하며, 근육주사 후, 마라톤등 극심한 운동직후에도 증가합니다.
  • 통풍검사
  • Uric Acid 고요산혈증은 통풍성 관절염, 중풍성 신증의 원인이 됩니다.
  • 갑상선기능검사
  • TSH, FT4 갑상선 자극 호르몬을 비교함으로써 갑상선기능 이상여부를 식별합니다.
  • 면역혈청검사
  • VDRL(정밀), CRP(정량), RA(정량), HIV Ab, H.Pylori 후천성면역결핍증, 매독반응검사, 류마티스성 관절질환, 헬리코박터균 검사, 염증반응검사를 합니다.
  • 간염검사
  • • A형간염항체(Total HAV) : A형간염에 대한 항체를 보는 것으로 양성인 경우에는 A형간염에 대한 예방접종이 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예방접종이 필요 없으며, 음성인 경우에는 예방접종이 필요합니다.
    • B형간염항원(HBs Ag) : B형간염 바이러스 감염이후 나타나며, 정상적으로 치유되면 음성이 되나, 검사결과가 양성이면 현재 B형간염바이러스가 있을 가능성을 보여줍니다.
    • B형간염항체(HBs Ab) : B형간염항원 소실되고 회복기에 나타나며 B형간염의 임상적 회복 및 면역형성을 보여줍니다.
    • C형간염항체(HCV Ab) : C형간염 바이러스가 체내에 존재함을 보여줍니다.
  • 빈혈검사
  • Ferritin, Hgb 빈혈의 원인을 진단하기 위하여 시행되는 추가적인 검사입니다.
    철결핍성 빈혈로 판단되는 경우 최소 3개월 이상 철분제제나 철분이 풍부한 음식의 꾸준한 섭취가 필요합니다.
  • 종양표지자검사
  • AFP, CEA, CA19-9, PSA, CA125 종양표지자 검사는 혈액을 통해 간접적으로 각종 암의 유뮤를 짐작해보는 검사로서, 진단적인 가치보다는 치료효과의 판정, 재발 유무를 평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.
  • 호르몬검사
  • FSH, E2, Testosterone, SHBG 난포자극호르몬(FSH), E2는 여성호르몬 검사이며 Testosterone은 남성호르몬 검사입니다. 이를 통해 여성, 남성 호르몬의 부족 여부를 평가합니다.
  • 소변검사
  • UA10종, U.Micro 신장, 방광, 요도의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로, 주로 혈뇨 및 요로감염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.
  • 대변검사
  • Stool OB(잠혈반응) 검사는 소화기계질환 및 대장암에 대한 기초선별검사로 활용되고 있습니다.